박영선 위원 -
수고 많으십니다. 복지비 지출이 늘어나면 이 복지비 지출이 과연 제대로 잘 전달이 되는지 이것을 잘 감시를 해야 하고 점검을 해야 하는데 제가 지난번에 국가재정원 원장님께 중첩되는 예산이라든가 또 과연 이게 제대로 다 전달이 되느냐, 이것을 뽑아달라고, 보고를 해 달라고 해서 보고를 받았는데요, 답변의 요지는 이겁니다. 그러니까 현재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는 그 일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그러면 국가재정원은 왜 있느냐라는 질문이 다시 바로 나오게 되거든요. 그런데 이 원장님 답변은 제가 요구하는 그런 것을 뽑으려면 소프트웨어를 다시 만들어야 되고 그 안에 IT 설계를 다시 해야 되기 때문에 예산이 많이 들어간다는 거예요. 그래서 예산을 한 1000억 이렇게 얘기하시더라고. 그런데 바로 이 문제입니다. 이 국가재정원을 만들 때 기재부에서 이것을 그 당시에 차관이 와서 거의 애걸하다시피 해서 이게 MB 정부 때 만들어졌는데 저는 이것 반대했어요. 왜 반대했냐면 지금 재정원장님이 말씀하신 그 문제 때문에 반대를 한 거예요. 그러니까 계속 프로그램을 바꿔야 되거든요. 업데이트를 해야 되거든요. 그런데 이것을 민간에다가 놔두면 서로 경쟁이 되기 때문에 정부에서 정부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업체를 비딩(bidding)을 붙여서 그때그때 선택하면 되는데 이렇게 재정원을 만들어버리면 이것 했다가 그 프로그램이 필요 없게 되면 또 그것 폐기하고 그다음에 또 예산 들어가야 되고 이러면서 이게 국가 예산이 낭비가 되는 전형적인 케이스가 될 수밖에 없는 그런 처지에 처해져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이 재정원원장님한테 그러면 국가재정원이 앞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뭔지 다시 연구해서 보고해 달라고 했어요. 이런 것이 엄청난 국가 예산 낭비고 또 FTA 원산지 무슨 뭐하는, 거기도 뭐 하나 생겼잖아요. 저는 이것 언제 생겼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이게 물어보니까 이것도 이명박근혜 정권 때 생겼더라고요. 그런데 제가 이것 관세청장님하고 의논해 봤는데 이게 과연 따로 원으로 나갈 일이냐, 관세청장님이 아니라고 그러더라고요. 그러면 제가 보기에는 내년도 예산편성을 함에 있어서 저는 기획재정부에서 자기 살을 깎는다는 심정으로 국가가 유지하고 있는 필요없는 이런 공공기관들 있잖아요. 이것 한번 점검해 보실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쭉 그 보고를 듣다 보니까 국가재정원이라는 이 조직과 통계청을 차라리 합치는 것이 낫지 않나 저는 이런 생각도 들더라고요,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해서. 그런데 문제가 뭐냐, 문제는 기재부 예산실에도 있어요. 무슨 문제가 있냐 하면 예를 들어서 이 소프트웨어가 예산 낭비가 없는지를 다 취합을 하려면 예산의 단위를 아주 세밀하게 자료를 줘야 되거든요. 그런데 그게 지금 오픈이 안 돼 있는 거더라고요, 제가 보니까. 그러면 이것을 어디까지 어떻게 오픈을 할 것이냐, 이런 어떤 국가적 합의가 필요한 거고요. 미국 같은 경우에 이 복지비 전달이 제대로 잘 되는지, 예를 들어서 의료보험과 관련해서 예산이 들어가면 이 사람이, 저소득층에 있는 어떤 A라는 할아버지가 약을 제대로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까지 체크를 합니다. 왜 그것까지 체크를 하냐면 그 사람이 약을 먹어야 그 병이 낫고 그 병이 낫는다는 것은 결국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데 그 사람이 약만 타 가고 약을 안 먹으면 그게 체크가 돼요, 이 사람이 약을 제 시간에 안 먹었다라는 것이. 그런데 그게 사람이 나가서 체크하는 것이 아니고 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체크를 하더라고요. 그 정도로 복지비에 대한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거든요. 그런데 우리는 지금 복지예산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데 여기에 대한 대비가 전혀 안 돼 있어요, 국가적으로. 이렇게 되면 이게 나중에 줄줄 샙니다, 조금 지나면. 한 2, 3년만 지나면 줄줄 새면 그 줄줄 새는 것 때문에 또 문제가 심각해지고 이렇게 해서 시스템이 안 돌아가게 되는 거지요.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경제부총리께서 지금 당장 할 일은 아니지만 내년도 예산과 관련해서 보건복지부, 그다음에 통계청 또 국가재정원이라는 것을 만들었으니까 여기, 이렇게 해서 다…… 국세청도 예를 들면 EITC를 지급하기 때문에 관련 기관이라고 볼 수 있지요. 이것 회의하셔야 될 겁니다. 그래서 선진국형으로 복지비나 저소득층 지원금 같은 것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바로 공격받습니다. 최저임금 지급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최저임금이 월평균 13만 원씩 보조가 나가지 않습니까? 그러면 보조가 나가는 만큼의 국가 시스템이 뒷받침돼야 됩니다, 이것을 어떻게 잘 감시하고 이게 불필요한 데 가는지 아닌지. 그래서 저는 이것을 부탁 좀 드리고요. FTA 원산지 이것 하는 관세청장님, 제가 보기에는 대안을 마련해야지 이렇게 무슨 관세청 퇴직공무원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는 이런 기관으로 전락하면 이거야말로 엄청난 낭비고요. 그래서 저는 여기에 대해서 좀 더 심사숙고 하셨으면 좋겠고요. 다음에 세제실장님께서는 제가 지난번에 금융지주회사 기준가 문제, 이것이 문제가 심각하다, 금융지주회사 만들 기준가를 낮게 책정해서 이게 지금 완전 세금탈루의 온상이 되고 있다고 말씀드렸잖아요. 이것 대책이 뭔지, 그러니까 사실은 금융감독원하고 금융위원회에서 해야 될 일이에요. 그런데 지금 안 하고 있는 거지요. 안 하고 있으니까 어쨌든 기획재정부가 우리나라 경제의 총괄 사령탑이니까 이것 대책이 뭔지 저한테 와서 보고해 주십시오. 부총리님 답변…… -
발언 회의록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