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권기원 계속해서 16페이지, 정보통신진흥기금 설명드리겠습니다. 세부 사업명으로 차세대 초소형 IoT기술 개발이 되겠습니다. 2018년 계획안에 47억 2300만 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체토론에서는 사전계획에서 계상한 연구개발 기간보다 축소되었으므로 감액이 필요하다는 박대출․민경욱․이은권․조원진 위원님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최적화 인프라기술, 초소형 IoT 시스템, 군집지능기술 개발에 사전기획 대비 3분의 2의 연구기간과 연구비를 투입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므로 30% 감액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14억 1700만 원 감액 의견 내셨습니다. 그 아랫부분 보시면 과제 단가 등을 고려하여 감액이 필요하다는 박대출․민경욱․이은권․조원진 위원님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동 사업 지원과제의 평균단가는 18억 8900만 원으로 편성되어 있고, 유사한 기술 분야를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융합기술 개발 사업의 경우에 과제당 10억 원 내외를 지원한다는 점을 고려해서 50% 감액, 즉 23억 6200만 원 감액 의견 내셨습니다. 계속해서 17페이지, 스마트 생활환경 개선 융합서비스 활성화 사업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내역사업으로 스마트홈 융합서비스 확산 사업이 있는데 2018년도 계획안에 10억 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체토론에서는 스마트홈 서비스 개발 예산의 감액이 필요하다는 추혜선 위원님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민간 사업자가 주도하여 이미 대부분 상용화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감액이 필요하다는 말씀입니다. 5억 원 감액 의견입니다. 하단의 ICT기반 맞춤형 문화체험 서비스 구축 내역사업이 있습니다. 18년도 계획안으로는 5억 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체토론에서는 ICT기반 맞춤형 문화체험 서비스 구축은 기존 세부사업에서 수행이 가능하므로 감액이 필요하다는 박대출․민경욱․이은권․조원진․추혜선 위원님의 지적이 있었습니다. ICT기반 맞춤형 문화체험 서비스 구축은 전쟁기념관을 대상으로 전시․문화관람 안내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및 ICT융합 콘텐츠를 구축하는 사업이 있습니다. 18쪽, 동 사업에 대해서 계속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체토론에서 우측에 보시면 ICT기반 맞춤형 문화체험 서비스 구축 예산의 증액이 필요하다는 고용진 위원님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비콘, 증강현실 등 ICT 신기술을 활용하여 독립기념관, 유엔평화공원 등의 맞춤형 전시안내 체계 구축을 통한 국가기념관 이용 활성화 촉진 및 성공모델 도출을 통한 자체 확산 환경 조성 사업이 필요하다는 말씀입니다. 10억 원 증액 의견입니다. 아랫부분 보시면 지능정보서비스 확산 사업이 있습니다. 2017년도 계획안으로는 50억 원이 반영되어 있었고 2018년도 계획안에 73억 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체토론에서는 정부 보조를 줄이고 민간 매칭 금액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추혜선 위원님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동 사업은 민간기업의 미래 수익모델 창출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서 일부 감액, 즉 21억 5000만 원 감액이 필요하다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19쪽 보시겠습니다. ICT기반 영양관리서비스 실증 사업입니다. 17년도 계획안으로는 4억 원이 반영되어 있었고, 18년도 계획안으로는 6억 6700만 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대체토론에서는 2018년도까지 단기 종료 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김경진 위원님 말씀이 있었습니다. 하단에 보시면 2017년도 예산 심사에서 보건복지부의 영양관리서비스와 유사하여 10억 원이 감액된 바 있는 점 등을 고려해서 2018년도까지 단기 종료 사업으로 추진이 필요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다음부터는 국이 바뀌기 때문에 여기까지 설명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