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위원 지금 그것을 우리가 판단해 봐야 되는데요, 현재 비례대표가 47명입니다. 그래서 이 정수를 고정시켜 놓고 연동형으로 한다 그러면 어떻게 보면 지역구에서 의석을 많이 획득한 정당들이 비례대표를 거의 못 낼 수도 있습니다, 연동형으로 그것을 47석 가지고 한다면. 이것은 어떻게 보면 정치에서 합의가 거의 불가능한 거예요. 그래서 실질적으로 제 생각에는 의원정수를 많이 늘릴 수는 없는데 어느 정도는 국민들을 우리 정치권이 설득을 해야 되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우리 의원들이, 국회가 내려놔야 됩니다. 그래서 저는 그 부분과 관련해서 좀 진솔하게 우리 국민들을 설득을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김재원 위원이 말씀하신 연동형과 관련해서 실질적으로 보면 독일하고 몇 나라밖에 없다 이러지만, 지금 선관위에서도 그렇게 말씀을 하셨는데 유럽의 다른 나라들은 사실 전국명부를 해 버리잖아요. 아예 지역구를 안 뽑는 데들이 있지 않습니까, 작은 나라들은? 그래서 그런 데들은 그냥 100% 다 연동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독일만 하고 있다 이렇게 얘기하시면 안 되는 거예요. 어떻게 해서든지 비례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른 나라들의 선거제도는 어떤가, 첫째는 전국명부를 작성해서 그냥 비례대표로 다 뽑는 나라들도 많이 있습니다, 규모가 작기는 하지만 어쨌든 북구라파 같은 데는. 그다음에 연동형으로 합니다. 그다음에는 병립형으로 하되 비례대표 수가 많습니다. 그렇게 해서 어쨌든 국민들의 사표를 방지하고 비례성을 높이고,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지역의…… 영남은 모 정당에서, 호남은 모 정당 이렇게 아주 완전히 독식하는 구조, 이런 부분은 없는 겁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계속 얘기했던, 가장 국민들이 정치에 대해서 이것은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역 독식 아닙니까? 지역 독식하는 것, 그다음에 비례성이 낮아서 1000만 표가 사표가 되는 것 아닙니까. 그리고 정치의 어떤 다양성이 전혀 담보되지 않는 이런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선거제도를 바꿔야 된다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국민들이 필요성은 인식을 하고 있는 거고. 그래서 제 생각에는 그렇습니다. 우리가 가장 과학적으로 지역대표성을 유지하면서, 말하자면 소선거구제로 지역대표를 뽑으면서 연동형으로 하는 것은 독일식이 가장 과학적입니다. 그런데 지금 말씀하신 대로 제일 약점이 초과의석이 발생하는 거예요. 이 초과의석이 발생하는 부분을 우리 국민들께서 사실은 잘 이해도 안 되고 적응이 안 되는 부분인 것은 사실이고 또 이것을 할 때 혼란스러운 것이 있다고 하는 것은 저는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래서 저는 충분히 논의를 해서 그래도 최대한 이것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까, 저는 가능하다고 하면 초과의석을 얼마 이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하는 초과의석 상한선을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하고요, 그것도 고민을 해 보겠습니다마는. 그리고 박주현 의원이 해 놨던 전국 단위로 해서 연동형으로 가는 것, 그것도 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저는 현재 의석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어쨌든 이번 특위에서는 정치가 정 말 바뀌기 위해서는 이러이러한 것이 필요하고 그것을 위해서 우리 국회는 어떻게 내려놓겠다, 그리고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이런 과정이 좀 필요하지 않은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