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재 위원 부총리님, 법안, 예산안 관련이 없고 이번 포항지진 관련해서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동료 위원님들 우리 포항지진에 대해서 보내 주신 관심과 또 도움에 대해서 감사의 말씀 드리고요. 지금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게 되면 완파된 가옥에 대해서 900만 원, 반파는 450만 원, 소파는 100만 원 이 기준이 1994년 삼풍백화점 붕괴 시에 제정된 기준입니다. 무려 23년이 흘렀는데, 주택이 무너져서 900만 원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 그리고 융자도 보니까 6000만 원 한도 내에서 연리 1.2% 지원하고 있는데 지금 포항의 경우에는 이재민이 1300여 명 발생했는데 가장 큰 문제가 주택 문제거든요. 빨리 보금자리를 만들어서 교회, 학교에 수용된 사람 일상으로 돌려보내야 되는데 지원금 상향조정 문제 이건 국회에 재난특위가 구성되게 되면 거기서 다루겠습니다마는, 두 번째는 주택 문제인데요 우선 대통령을 비롯해서 이번 정부가 그야말로 발 빠르게 대응해 주시고 전폭적 지원을 보내 주신 데 대해서는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주택공사에서 나가지 않는 주택들을 한 60여 세대 공급해 주고 있는데 보니까 전부 다 7.5평짜리, 방 한 개짜리를 제공하고 그것도 거리가 지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군이 또 달라서 굉장히 떨어진 다른 지역에 하게 되니까 자기 주거지를 안 떠나는 문제점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그걸 보면서 가장 큰 문제가 노후한 주택들, 30년 이상 된 주택들이 무너졌는데 저걸 빨리 건축해서 들어가야 될 텐데 갑자기 주민들이 그 돈을 염출할 방법이 없는 거예요, 그렇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보니까 이런 분들에 대한 주택자금 지원을 위해서 지진피해에 대한 지진기금 특별회계라든지 안 된다면 무슨 방법을, LH공사에서 뭘 한다든지 해서 그런 점에 대해서 심도 있는 검토를 해 주시면 실질적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다른공공시설에 대한 항구복구 같은 것은 정부예산으로 하게 되는데 사유재산, 특히 집이 무너진 사람들에 대한 지원 대책이 너무나 미흡하더라고요. 그게 가장 큰 포항시가 갖고 있는 고민입니다. 그래서 도시재생사업 관련 예산도 거기로 돌려라 하고 얘기하고 있습니다마는 이 점에 대해서 부총리님께서 꼭 유념하셔서 한번 잘 살펴봐 주시기를, 검토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