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겸교육부장관 김상곤 2018년도 예산안 제안설명에 앞서 우리 부에 신규 부임한 간부를 소개하겠습니다. 기획조정실장 김영철입니다. (간부 인사) 존경하는 유성엽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오늘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님들을 모시고 2018년도 세입세출예산안,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합니다.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교육부는 2018년도 예산안을 편성함에 있어 ‘모든 아이는 우리 모두의 아이입니다’라는 새 정부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교육의 국가 책임성 및 공공성 강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한정된 국가 재정여건하에서 새 정부의 교육철학과 국정과제에 대한 의지를 담은 교육 분야 예산에 대하여 위원님들의 각별한 관심과 애정 어린 심의를 부탁드립니다. 2018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개요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3쪽, 부문별 예산 편성 방향입니다. 유아 및 초․중등 교육 부문에는 누리과정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소프트웨어․STEAM 교육 활성화, 취약계층 교육 지원 확대 등 국가의 공교육 책임 강화 및 학생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을, 고등교육 부문에는 국립대 집중 육성, 대학생등록금 및 주거비 부담 경감, 대학 창업생태계 구축 등 고등교육 공공성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한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평생․직업 교육 부문에는 K-MOOC 지원 확대, 한국형 나노디그리 및 평생교육 바우처 신규 반영 등 생애 단계별 평생․직업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확대에 역점을 두었습니다. 4쪽, 2018년도 예산안 규모입니다. 세입은 금년보다 1501억 원 증액된 5조 8485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세출은 총지출 기준으로 금년보다 4조 6160억 원 증액된 68조 1880억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7쪽, 유아 및 초․중등 교육 부문입니다. 유아 및 초․중등 교육 부문은 금년도보다 4조 7874억 원 증액된 53조 7326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잠재력이 있는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을 위해 영재교육 지원 사업을 증액하였고,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을 갖춘 우수한 예비 교원 양성을 위해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기반 구축 사업을 신규 반영하였으며,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4조 8394억 원 증액된 49조 5579억 원을 편성하였고, 유아교육비 보육료 지원은 원아 수 조정에 따라 482억 원 감액된 3조 8927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특히 어린이집 누리과정에 대한 재정부담 갈등 해소와 국가 책임 확대를 위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전액 국고로 반영하였습니다. 9쪽, 고등교육 부문입니다. 고등교육 부문은 금년보다 164억 원 증액된 9조 4417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교육․연구의 지역 허브이며, 지자체-지역기업 등과 주요 접점인 국립대학의 혁신 및 집중 육성을 위해 국립대학 혁신 지원 사업을 확대․개편하였고, 대학 창업생태계 구축과 대학발 창업 활성화를 위해 대학창업펀드 조성 사업을 증액하였으며, 대학원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육성을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이공 분야 풀뿌리 기초연구의 저변 확대와 창조적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개인 기초연구 사업과 이공학 학술연구기반 구축 사업을 증액하였고, 학생․학부모의 등록금 부담에 대한 실질 체감도를 경감시키기 위해 반값등록금 이상 지원 대상 범위를 올해 3분위에서 내년에는 4분위까지 확대하는 계획으로 맞춤형 국가장학금을 증액하 여 편성하였습니다. 13쪽, 평생․직업교육 부문입니다. 평생․직업교육 부문은 금년보다 321억 원 감액된 587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소외계층의 실질적인 평생교육 기회 제공을 위해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신규 반영하였고, 장애 성인의 평생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운영 지원 사업을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성인학습자가 4차산업 유망 분야의 직무능력을 단기간에 습득할 수 있도록 단기 교육과정인 한국형 나노디그리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며, 특수외국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특수외국어 교육진흥 사업을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15쪽, 교육일반 및 기초생활보장 부문입니다. 교육일반 부문은 본부 및 소속기관 인건비, 소속기관 청사시설 유지관리 등 교육행정 지원에 1244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기초생활보장 부문은 내년부터 초등학생에게도 학용품비를 신규 지급하고, 부교재비를 대폭 인상하는 등 교육급여 예산을 금년보다 30억 원 증액하여 1312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6쪽, 공적연금 부문입니다. 공적연금 부문은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지급을 포함하여 4조 170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7쪽, 2018년도 기금운용계획안입니다. 사학진흥기금 수입․지출은 금년보다 1136억 원 증액된 5567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수입․지출은 금년보다 7621억 원 증액된 11조 6775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18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안 주요 사항에 대해 간략히 보고드렸습니다. 앞으로 2018년도 예산안 국회 심의에 성심껏 임하고, 예산 심의 과정에서 위원님들께서 지적해 주신 사항은 향후 우리 부 정책수립 과정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