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위원 그래서 제가 이 말씀을 드리는 것은 정책적 오류를 말씀드린 게 아니라 상황에 큰 변화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대북정책은 수정해야 된다, 그래야 우리가 좀 전에 보고에서 말씀드린 CVID, 핵 폐기로 갈 수 있다 이런 말씀입니다.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제재한 게 있습니까? 독자적인 대북제재안 내놨습니까? 아직도 안 내놓은 게 현 정부 아닙니까? 없지 않습니까, 그렇지요? 없습니다, 지금까지도. 그래서 잘못된 대화판에 어떤 변혁론을 갖고 올 때가 아니다, 지금은 대북정책의 폐기를 선언하고 그 폐기선언을 해도 주어진 여건 때문에, 우리가 잘못했다는 게 아니라 북한이 우리로 하여금 정책을 변경할 수밖에 없게끔 강제하지 않았습니까? 명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대북정책의 폐기를, 깨끗한 폐기를 선언하고 새로운 정책으로 가야 된다, 그게 어떤 정책이 될지는 몰라도. 그렇지요? 그게 여야 합의하에 있는 정책이면 훨씬 더 좋지요. 그런 말씀입니다. 좀 전에 존경하는 원유철 위원님께서 NPT 조항 10조 1항 비상사태 시에 소위 말해서 자국의 슈프림 인터레스트(supreme interests), 지상의 이익을 침해할 경우에 탈퇴할 수 있다, 탈퇴 권리를 얘기했는데요. 장관님 현재는 비상상황입니다, 비상상황. 저쪽은 계속 북핵 실험하고 핵미사일 고도화했는데, 한반도 비핵화 선언 깨지 않았습니까? 비상상황이지요. 그런데 왜 우리가 NPT 10조 1항에 의해서 탈퇴 선언을 못 합니까? 왜 못 하지요? 경제적인, 외교적인, 국제적인 고립 때문에 그렇지 않습니까? 쟤네들이 만약에 원전 재료 금수조치 하면 어떻게 됩니까? 안 되는 거지요. 그래서 우리 외교부에서 못 하고 있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제가 계속 말씀드린 것이지만 한국 정부가 미국 정부하고 공조하에, 긴밀한 협의하에 전술핵이든 아니면 한반도 근해에 핵미사일을 탑재한 핵추진 잠수함을 상시 배치해라, 그게 훨씬 더 한반도에서 전쟁을 막는 지름길이다 말씀드리는 것이지요. 북한하고의 핵 공포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도 필요하고요. 정말로 지금 같이 계속 북한이 군사 도발 하는 와중에, 미국의 군사행동에 명분이 쌓여 가는 와중에 우리도 모르게 한반도 근해 밖에 있는 핵자산을 가지고 아니면 전략자산을 가지고 북한에 대해서 공격을, 예방타격을 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러면 우리가 동의 없이, 우리 힘으로도 전쟁을 막을 수 없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우리 힘으로 전쟁을 막기 위해서라도 미국하고 긴밀한 협조하에 한반도 근해에 핵미사일을 장착한 핵잠수함 갖다 놓는 것, 더군다나 일본의 협조까지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한반도 비핵화 원칙도 안 깨고 군사적인 효용성도 훨씬 더 크고 군산 기지에 소위 말해서 B61, 전술핵폭탄 가져온 것보다 훨씬 더 군사적 효용성이 크고 러시아, 중국의 반발도 훨씬 더 누그러트릴 공산이 크니까 그런 것을 한번 검토해 봐라. 송영무 국방장관께서는 전술핵 배치를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했는데 우리 장관님께서도 생각을 좀 바꾸셔 가지고 이런 전술핵뿐만 아니라 한반도 근해에 핵미사일을 탑재한 핵추진 잠수함의, 순환 배치가 아닙니다, 상시 배치를 해야 한다 이런 것을 한번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셨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