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석창 위원 본 위원이 지적하는 것은 지금 현재 업무 분장이 흐름에 따라서 종적으로 가는 것이 아니고, 영어를 쓰자면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의 횡적으로 잘라서 업무 분장을 하는 문제에서 시작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산자부에서 공산품을 만드는데 제조회사를 중심으로 관리를 하는데 그것이 궁극적으로 어린 아이가 갖고 놀다가 어떤 공산품 장난감이 터지거나 여러 가지 유해물질로 인해서 문제가 생겼을 때 누가 책임을 집니까? 산자부가 합니다. 제조부터 제조 전 단계인 조달,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이라고 합니다. 조달하고, 유통하고, 최종 소비자단계까지 가는 이 단계에서 서플라이 체인에 맞게 업무 분장이 되어 있어야 됩니다. 그런데 이것이 중간에 횡적으로 잘라 놓으니까 중간에 공백이 생깁니다. 이 미싱(missing)된 구간 때문에 이 문제가 더욱더 악화되고 있다, 본 위원은 그렇게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바라볼 때 식약처도 농림부 건지 알고 있고, 농림부도 식약처의 업무로 생각을 하고 있는 부분 때문에 발생한 겁니다. 살충제가 우리가 조사했더니 안 나왔다, 그런데 식약처가 나중에 또 조사를 했더니 또 나온 경우가 있습니다. 왜냐? 식약처가 그러면 생산 단계를 안 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한 겁니다. 환경부가 환경영향평가를 하는데 ‘건설단계는 국토부 너희들이 알아서 환경영향평가하고, 준공 단계 이후만 우리가 한다’ 이것 말이 안 되는 겁니다. 저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으면 이 문제는 계속될 것이다. 본 위원의 제안만 말씀드리면 식품의 안전관리라는 측면에서는 전부 식약처가 해야 되는 겁니다. 식품 산업의 진흥이라든가 안전을 제외한 관 리는 우리 농림부가 해야 된다고 저는 봅니다. 예를 들어서 인증을 하더라도 안전과 관련된 인증은 식약처가 전부 해야 되고, 만약에 나중에 한국 맛 인증, 아름다운 식품 인증 이런 것은 농림부가 해야 되는 겁니다. 서로 인증도, 이번에도 친환경 인증을 했는데 그것이 농림부에서는 전문성이 없는 여러 가지 종류, 신종의 살충제를 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저는 그 부분에 대해서 우리 농림부장관님, 인식을 하시고 업무 분장에 대해서 총리실과 함께 해서 명백히 이번에 문제를 해결하는 업무 분장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답변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