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장 정황근 존경하는 김영춘 위원장님, 그리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님 여러분! 평소 농촌진흥사업에 각별한 관심과 성원을 보내 주시는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을 모시고 2017년도 농촌진흥청 소관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2017년도 정부안으로 제출된 농촌진흥청 소관 세입예산안 규모는 407억 원으로 2016년도 예산 211억 원 대비 196억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세출예산안은 총 9093억 원으로 2016년도 예산 9272억 원보다 179억 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이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전사업비 감액 편성,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 완료 등에 따른 것입니다. 회계별로는 일반회계 7681억 원, 농어촌구조개선특별회계 429억 원, 지역발전특별회계 983억 원이 계상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내년도 예산안은 ICT․BT 등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 및 수출산업화, 6차산업화를 통한 농업의 경쟁력 제고 및 농업․농촌 활력 증진에 중점을 두고 편성하였습니다. 특히 쌀가루, 스마트팜, 반려동물, 밭농업 기계화, 곤충 등 5대 핵심 분야를 국정과제와 연계한 현안문제 해결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Top 5 융복합 프로젝트로 선정, 내․외부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하여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는 데 청의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존경하는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위원님들께서 지적하여 주시는 말씀과 고견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사업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습니다. 아무쪼록 여러 위원님들의 아낌 없는 지도와 성원을 부탁드리면서 정부가 제출한 2017년도 농촌진흥청 소관 예산안을 심의 의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년도 예산안의 자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중심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쪽입니다. 2017년 예산안 편성 방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첨단과학기술을 접목하여 농업을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농업의 경쟁력 제고 및 농식품 수출지원을 기본 방향으로 ICT․BT 등 융복합 기술개발, 개방대응 기술 경쟁력 향상, 밭농업 기계화, 6차산업화 정착 지원과 신기술 보급 확대, 또 첨단분야 대외협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편성하였습니다. 4쪽입니다. 세출예산안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내년도 세출예산안 규모는 9093억 원으로 2016년 대비 179억 원 감액되었습니다. 주요 감액 사유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전사업 감액 편성, 공공기관 지방이전사업 완료 등에 따른 것입니다. 6쪽입니다. 세출예산안 주요 사업별 내역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첫째, 창조농업 지원 융복합 기술개발 분야에 429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 등 ICT 융복합 농업생산성 향상 기술개발에 228억 원을, 지역별 농산물 생산․가공․체험 상품화 기술지원 등 농촌자원 활용 6차산업화 정착 지원에 20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7쪽입니다. 농업생명공학 원천기술 개발 및 신성장 동력 창출 분야에 1299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생명공학, 종자산업 육성 등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 기술개발에 1086억 원, 농축산물 기능성 평가 및 가공기술 개발 등 농식품자원 부가가 치 향상 기술개발에 213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8쪽입니다. 셋째, 밭농업 기계화, 쌀 수급안정 지원 및 안전 농식품 공급 분야에 140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밭농업 생산성 증대 및 기계화 적합용 기술개발에 321억 원, 가공용․기능성 벼 품종 개발, 쌀가루 생산 및 이용기술 등 쌀 소비촉진과 수급안정 기술개발에 36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유기농작물 병해충․잡초 종합관리기술 등 친환경․안전 농식품 공급 기술개발에 332억 원, 파리기후협정에 따른 농업부문 선제적 대응 기술개발에 38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0쪽입니다. FTA 등 개방대응 경쟁력 향상 분야에 1128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로열티 대응을 위한 우수 국산품종 개발 등 원예특작 품질 고급화와 경쟁력 제고에 578억 원, 생산비 절감, 고능력 씨가축 개발 등 축산의 생산성과 부가가치 향상에 550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1쪽입니다. 다섯째, 농식품 수출경쟁력 확보 및 세계화 지원 분야에 7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안전 농축산물 수출기반 확대에 58억 원, 할랄식품 수출 애로기술지원 및 해외정보 분석에 12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2쪽입니다. 여섯 번째, 연구 인프라 확충 및 지역농업연구 활성화 분야에 668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축유전자원센터, 계화지구 간척시험지 등 축산 및 식량작물 연구기관 이전에 385억 원, 지역농업연구기관 연구시설․장비 구축 등 역량강화 지원에 219억 원, 긴급연구활동 지원에 6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3쪽, 일곱 번째 글로벌 농업기술협력 분야에 22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 등 개도국 현지 맞춤형 농업기술 개발․확산에 188억 원, 선진국, 국제기구 등과의 농업기술협력에 35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4쪽입니다. 개발기술의 신속한 보급 및 확산을 위하여 101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신기술 보급 시범사업, 지역여건에 맞는 주산작목 특성화기술 지원 등 신기술과 지역특화기술의 현장 확산에 502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농작물 병해충 예찰․방제 관리 체계구축 등 과학영농 지원과 선제적 재해 대응에 166억 원을, 농업기술 실용화 및 고객지원 서비스에 346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5쪽입니다. 아홉 번째, 농촌 삶의 질 향상 지원 등 농촌활력화 분야에 819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작업 재해예방, 농작업 편이장비 지원 등 안전 농작업 환경조성과 고령농 복지 지원에 53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업경영체 자립역량 강화 지원 등 선도농가 육성과 농가경영 개선에 104억 원, 농업인․지도공무원 전문역량 강화와 농기계 안전교육 등 현장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에 185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다음, 16쪽입니다. 농촌진흥사업 정보화 분야에 159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17쪽입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분야입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서 현재 수원에서 전북으로 이전하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전사업 등에 20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8쪽부터는 세부 내역입니다마는 자료로 갈음하고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