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술인 고유환 안녕하십니까? 귀한 자리에 불러 주셔서 고맙습니다.발제에 앞서서 잠깐 현안 하나를 말씀을 좀 드리고 싶은 게, 지금 함경북도 수해 피해가 밖으로 알려진 것보다 사실 거의 천문학적 수준의 피해로 지금 추정이 됩니다. 지금 북한당국의 공식입장은 138명 사망, 실종 400인데요. 개인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NGO의 여러 정보를 종합해 봤을 때 최소 수천 명의 사망․실종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두만강 범람이 아니고 북한 내륙에 있는 서두수발전소, 삼유발전소, 마양발전소라고 하는 거대한 수력댐 3개가 일부는 붕괴됐고 일부는 만수위를 유지하고 있다가 폭우로 일시에 방류를 하면서 급류가 발생을 해서 희생자는 사실 셀 수 없을 정도고 시신 발굴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북한문제 전문가로서 매우 고통스러운 입장입니다. 지금 이 상황에서 비상구급약 하나도 지금 전달이 안 되고 있거든요. 경주 같은 경우는 사망자 한 명도 발생하지 않은 물적인 피해만 가지고도 지금 우리가 배려를 하고 있는데, 사실 우리 모두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반성을 좀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자괴감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간단합니다. 뭐냐 하면 핵심은 통일문제는 민족 공동의 공통분모이기 때문에 이것만큼은 적어도 정쟁화의 구도에서 좀 빼자는 것입니다.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요. 그것은 왜 그러냐 하면 그동안 대북․통일정책의 추진과정을 보면 각 정부마다 정책적인 기조에는 전혀 차이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햇볕정책을 김대중 정권의 성과라고 그러지만 제가 보기에는 사실 햇볕정책의 주창자는 노태우 정부입니다. 7․7 선언이 사실은 햇볕정책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거든요. 그리고 지금 고유환 선생님 말씀하셨지만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이라고 하는 통일방안은 지난 수십 년간 모두가 합의해서 단 한 자도 고쳐지지 않았어요. 성경과 같은, 바이블과 같은 방안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정권이 승계를 했고요. 그리고 예를 들어서 김대중 정권, 노무현 정권을 퍼주기라고 그러지만 사실 이명박 정권의 비핵․개방․3000이나 아니면 박근혜정부의 통일대박론, 드레스덴 선언은 엄밀히 말하면 퍼주기에 비하면 쏟아붓기거든요, 천문학적으로. 그러니까 정책적인 기조에는 전혀 차이가 없어요. 차이가 없는데, 집권만 하면 현안을 가지고 여야가 갈라져서 정쟁화의 소재로 삼아 왔다는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이 정도의 피로감 정도는…… 사실 추가적인 발표도 있겠지만 북핵문제라고 하는 민족 생존의 위기가 지금 발생을 하고 있고, 지금 동포들이 천문학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데도 사실은 도와줄 수 없는 이런 상황, 이런 모든 것들, 이런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정치권에서 정쟁화 구도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서독이 그랬거든요. 서독의 경우에는 정권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비밀협상이나 아니면 동독에 대한 정책적인 기조는 모두가 유지가 됐습니다. 그러니까 진보정권에서 출발했던 통일 논의가 콜 총리라고 하는 보수정권에서 방점을 찍었듯이 우리도 가능하다는 거거든요. 저는 지금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특히 이 위기를 신뢰의 위기라고 저는 진단하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팩트가 중요한 게 아니지요. 서로의 불신구조 때문에 진실이 뭐든 아무 상관없는 거지요. 양 진영으로, 진영 간 논리로…… 나중에는 진위 여부가 전혀 중요해지지 않는 거지요. 입장 차이만 충돌하는 거지요. 그런 점으로 봤을 때 한국사회 갈등은 구조적인 신뢰의 위기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제가 15쪽에 ‘한민족 생태계의 단절’이라고 써 놨는데요. 원인은 바로 분단이다, 분단구조라고 하는 것이 한국적 똘레랑스, 관용과 포용의 다원주의가 배태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조성한 게 아니라 지배문화와 반문화, 배제와 강요라는 형식으로 갈등구조를 재생산해 왔다는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한국사회의 구조적인 신뢰의 위기 출발점은 바로 한민족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는 데서 출발한다라는 게 제 인식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박근혜정부의 용어로 본다고 그러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저는 내적 신뢰프로세스라고 보입니다. 다시 말해서,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대북정책의 기조는 지금까지 변한 게 전혀 없어요. 모든 정권에서 추진됐던 대북정책의 흐름을 보면 거의 차이를 발견하실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집행하는 과정에서 현안들을 둘러싸고 수없이 많은 갈등과 정쟁화의 소재로 재생산된다는 거지요. 이것은 사실은 어느 정권에서 마찬가지입니다.그러니까 햇볕정책이나 압박정책이나 모두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게, 우리 안에서의 신뢰구조가 부재하기 때문에 단순한 한두 가지의 정책적인 실수나 북한과의 협상의 실패도 바로 대북정책 전반의 위기로 이어지고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적인 지지의 철회라고 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거지요. 사실 우리가 이런 문제에서 좌절감을 가지고 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해결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대북정책에서는 정책적인 차이가 정권마다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요. 따라서 저는 일종의 사회협약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 제가 한 십여 년 동안 떠들어 왔던 이야기입니다. 이게 일종의 IMF 위기 때 노사정 협약 같은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투명사회협약이라든지 일종의 사회적인 협약, 이것을 소셜 팩트(social fact)라고 그러는데요. 이게 뭐냐 하면 법적인 강제력이나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한국사회의 주요한 주체들이 모여서 일종의 통일에 대한 기본적인 규범을 만드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지금 여론조사를 해 보면 통일에 대한 지지도가 나오지만 실질적으로 더 들어가서 과연 얼마나 통일을 원하는가 들어가 보면 계층별로, 세대별로 상당히 상이한 입장이 나오거든요. 예를 들면 첫 번째, 통일을 하자라는 국민적 공감대도 필요한 거지요, 협약을 통해서. 두 번째는 그러면 통일은 어떻게 할 것이냐,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나왔듯이 ‘점진적이고 합의를 통해서 평화적인 통일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이 중요한데요. 대북정책, 통일문제 이슈를 정쟁화의 구도로 사용하지 않는다라는 선언입니다. 이게 말이 선언이지만 실제로 세부적인 디테일로 들어가게 되면 여러 가지 내용들이 있을 수 있지요. 그러니까 정쟁화로 하는 어떤 소재로 삼는 여러 가지 기준을 김영란법처럼 만들고, 그렇게 포괄적일 필요는 없겠지만 세부적인 정쟁화의 어떤 기준들을 만들어서, 정쟁화를 방지하는 기준들을 만들어서 모니터링하고 그것을 감시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지요. 17쪽 중간에 있습니다만 ‘통일에 대한 국민적인 동의’, ‘합의에 기반한 정책 추진’, ‘통일 문제에 대한 대북․통일정책의 정쟁화 방지’ 그다음에 ‘민족 차원의 정책 추진’ 같은 이런 주요한 골간들 몇 가지, 이것은 최소주의적 합의를 지향하 는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명예선언에 해당하는 몇 가지의 조항들을 만들어 놓고 이것을 여야, 시민사회 그다음에 이 사회의 각종, 노동계, 기업 그다음에 여성계, 종교계를 포함해서 각 주체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 동의를 하는 거지요. 사실 이게 쉬운 방법은 아니겠지요. 이 합의과정 자체가 지난할 수는 있겠지만 저는 이제는 이 정쟁화 구도를 털 필요가 있다라는 거고요. 그래서 제가 18쪽에 통일국민협약 추진과정을 표로 하나 만들어 놨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여기에 동의하는 여야의 정치세력과 시민사회가 연대해서 이 통일국민협약 추진을 제안할 필요가 있겠다라는 것이고요. 그래서 통일국민협약 추진 연석회의를 만드는 거지요. 각 주체들이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구성을 해서 본회의와 실무회의로, 본회의는 기본적인 대강만 결정만 하고 실무회의에서 구체적인 내용들을 검토를 하고, 그다음에 이 주체들의 참여하에 체결을 하는 거지요. 그랬을 때 이행관리는, 실제로 국민…… 이것은 법적인 강제력이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그러니까 통일국민협약실천협의회를 민간 주도로 만들어서 과연 이 주체들이 통일국민협약의 기본적인 대강을 지키고 있느냐를 모니터링하고 감시하고 백서를 발간함으로써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그런 체제를 만들자는 것이지요. 물론 여러 가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통일국민협약은 경제위기나 아니면 여러 가지 투명사회처럼 물질적으로, 가시적으로 만져지는 부분들이 아니기 때문에 체결 과정에서부터 많은 문제점이 형성이 될 수 있지요. 또 이 과정 자체가 배타적인 갈등구조를 강화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아까 여러 번 강조드렸습니다마는 북한체제의 불안정성도 증가하고 있지만 이제는 실질적으로 우리가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내부의 문제들을 먼저 정리하는 게 필요하다, 그래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적 신뢰프로세스고, 그런 내적 신뢰프로세스를 구체화하는 것이 제가 십여 년간 주장해 왔던 통일국민협약이다, 여기서 당연히 국회의 역할은 핵심적이다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