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기획조정실장 이기순 기획조정실장 이기순입니다. 준비된 자료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여성가족부 주요 업무현황에 대해서 핵심 위주로 간략히 보고드리겠습니다. 1쪽입니다. OECD 주요 국가 사례를 보면 여성 고용률이 높을수록 출산률, GDP도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출산률, 여성고용률 모두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여성인재 활용과 일․가정 양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이를 뒷받침할 양성평등문화가 사회 전반에 안착되어야 합니다. 2쪽입니다. 그간 일․가정 양립제도 개선 사업을 추진한 결과, 가족친화경영 실천 기업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고, 여성 고용률도 2015년 55.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3쪽, 아직 개선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중소기업과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아직 일․가정 양립제도 정착이 미흡하고 여성 고용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 추세에 있으나 OECD국가 평균 고용률에는 못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과 지지가 아직 부족한 형편입니다. 4쪽입니다. 따라서 여성가족부는 저출산 극복을 통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 일․가정 양립 확산, 여성 고용 활성화, 다양한 가족에 대한 포용성 제고, 출산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등 4대 전략과 14개 실천과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쪽은 자료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6쪽입니다. 첫 번째,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과제입니다. 공공부문의 가족친화인증을 의무화하여서 민간부문의 가족친화경영을 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가족친화인증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발굴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하여서 올해 말까지는 1800개로 가족친화인증기업을 확대하겠습니다. 7쪽입니다. 일․가정 양립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서 민간과의 협업체계인 여성인재 활용과 양성평등실천 TF를 구축하여서 기업의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CEO가 참여하는 기업문화 개선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고, 남성의 육아 참여 확대를 위해서 초보아빠 수첩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8쪽입니다. 맞벌이 가정이 겪는 일․가정 양립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서 워킹맘․워킹대디 사업을 2020년까지 226개소로 확대하고, 한부모 가정 등의 자녀양육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아이돌봄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보다 내실을 기하겠습니다. 9쪽입니다. 두 번째, 여성고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입니다. 경력단절여성의 일터 복귀를 위해서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2020년까지 175개소로 확충하고 온라인 취업상담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IT, 콘텐츠 분야 등 고부가가치 직종 훈련을 도입해서 여성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여성 창업도 다각도로 지원해 나가고 있습니다. 10쪽입니다. 세 번째, 다양한 가족에 대한 포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입니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가족 유형에 따라 분리된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합하고 지원 기관을 2020년까지 226개소로 늘리겠습니다. 11쪽입니다. 한부모 가족의 어려움을 덜어 주기 위해서 온라인 신청서비스를 개설하고, 혼인관계자 자격조사 주기 단축하는 등 한부모 가족들이 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행 과정을 좀 더 편의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청소년 한부모의 학력 취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2쪽에 계속되는 내용인데요. 청소년 한부모의 아동 양육비를 현실화하고 결혼이민자에 대해서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자녀들에 대해서도 다문화 가족 성장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3쪽입니다. 네 번째, 출산친화적 사회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 과제입니다. 양성평등 인식을 어린 시절부터 가질 수 있도록 초중고교의 교육과정과 예비교원 대상으로 양성평등 관련 교육을 실시하겠습니다. 특히 지난 3월 아동학대예방 및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강화를 위해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으며, 부모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14쪽입니다. 여성가족부에서는 결혼비용 개선을 위한 작은결혼식의 확산을 추진하고 있고, 소비주의적 육아문화를 개선하는 등 출산친화적 사회문화를 조성해 나가서 위원장님께서 모두에 말씀하신 가치와 문화를 확산하는 데도 저희가 일익을 담당하도록 하겠습니다. 15쪽의 추진 일정은 자료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