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현 위원 예, 거기까지만 들어야 되겠습니다. 지금 계속 반복이 되기 때문에요. 어쩔 수 없이 추경과 관련해서 묻겠습니다. 정부가 지금 10조 원의 추경 플러스 10조 원 이상의 재정수단을 적극 활용해서 하겠다 이렇게 발표를 했는데요. 이번 추경, 추경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대량실업을 요건으로 세우고 있는데 이게 전국적인 실업률이 아닌 경남의 실업률이 악화돼서 전국 평균치를 웃돌게 됐다, 이것을 추경 이유로 삼기에는 너무 옹색하고요. 두 번째, 브렉시트를 이유로 들고 있는데 정부가 한편으로 우리나라는 영국과 무역금융 연계가 크지 않아서 직접적 영향이 제한적이고 또 영국과의 교역 비중이 낮아서 단기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산업 역량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렇게 말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당장의 추경 요건이 될 수는 없는 것이고 산업 역량을 좀 더 파악한 후에 내년 예산에 반영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그리고 세 번째로 경기침체를 들고 있는데 내년 성장률 전망을 3.1%에서 2.8%로 낮추고 그것도 추경을 하지 않으면 2.5%에 그칠 것이라고 하는 것은 말하자면 정부의 경제예측기능에 큰 문제가 있거나 정부의 정책이 실패했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을 자인하는 것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