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위원 4년간, 행자부장관은 지방자치발전위원회의 당연직 부위원장입니다. 한 번도 장관이 참석한 적이 없어요. 이래 놓고 무슨 노력을 했다고 와서 이렇게 말씀하십니까? 그래 놓고 약한 고리 같고 간섭하기 좋은, 그리고 국회가 총선을 치르는 그 시기에 용역 해 가지고, 그것도 중간보고만 가지고 전광석화같이 막 밀어붙이는 것을 누가 신뢰합니까? 그리고요 이런 면을 한번 생각해 보셔야 돼요. 이 지방자치가 이렇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까 백재현 위원님 말씀하셨듯이 기본적으로 거기에서 생긴 수입들에 대해서는, 그 주민들이 생활불편을 다 겪을 수도 있는 거예요. 인구과밀 지역에 살면서 그 아파트 취등록세 이런 것들을 통해서, 그 분들이 다 그 세금을 통해서 혜택을 받고 싶어 할 수도 있는 거예요. 그런 원칙하에서 보면, 보십시오. 지금 우리나라의 가장 큰 위기가 저출산․고령화 아닙니까? 청년실업 문제가 가장 큰 문제 아닙니까? 그러면 지금 가장 포퓰리즘의 상징인 것처럼 되어 있고 시비가 논해지고 있는 공공 산후조리원 같은 문제, 실업을 맞고 있는 청년들에 대해 수당을 주는 문제, 이것을 전국적으로 할 수는 없을 거예요, 많은 재원이 들어가니까. 그러나 다른 피해 안 주고 자기의 자체 재원을 가지고 그런 걸 해 볼 때 과연 그것이 출산율에 어떤 영향을 주고, 우리 청년들의 실업을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이런 것을 하기 위한 테스트 자치단체로 지정해야 되는 거예요, 행정을 진짜 잘하려면. 그런 돈을 다 뺏어서…… 그게 지방자치의 옳은 방향입니까? 그래서 이 문제가 정말 고민하고 생각해 봐야 될 대목이 많은 거예요.그렇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던 이런 문제들, 게다가 지금 지방으로 업무 일괄 또 이양한다고 1700개 골라 놓으셨잖아요. 그게 내려가면 2조 이상의 재원의 부담이 생겨요. 이런 것을 다 통틀어 놓고 그렇다면 이제 근본 대책이 무엇인가를 논의해야 된다 이거예요. 이 조정교부금은 급한 것 아니에요.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않게 해 주세요, 자꾸. 그래서 국회에 지방재정특위나 지방자치특위나 이런 것을 만들어서 모든 것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정부도 참여하고 지방자치발전위원회하고 같이 머리를 맞대고 해야 될 일이지 이렇게 전광석화같이 밀어붙여서 할 일이 아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