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칠승 위원 -
제355회 제2차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게 논쟁이 종식되지는 않겠지만 정말 유리한 자료들을 가지고 와 가지고 제시하면서 일방적 주장들을 하는 그런 것들은 이제 정리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신뢰성 있는 자료들을 제출해 주시고요. 만약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안 된다면 한전에서 전기료를 책정하는 문제라든가 이런 것들이 사실은 다 신뢰성이 없어지는 거잖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산업부에서 책임감 있는 자료를 내주셨으면 감사하겠다는 말씀입니다. 그다음, 지금 현재 선진국에서는 탈원전을 하는 추세가 많고 그다음에 전기 수요가 폭증하는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에는 원전을 도입하는 경우들이 실제로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원전학회 주장을 보면 원전이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고까지 주장을 하거든요. 그렇다면 제가 볼 때는 대부분의 발전을 원전으로 해야지요, 상식적으로 보면.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그렇지 않잖아요, 세계적인 추세가. 우리나라가 이미 원전 의존도가 세계 2위이고 또 원전 운용의 규모로 봐서 세계 6위라고 하는데, 지금 우리나라는 이것뿐만 아니라 울산․부산․경주, 동해안벨트에 지금 몰려 있지 않습니까? 여기에다가 계속 지을 수밖에 없는 게 다른 곳에는 수용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현실적인 이유를 그렇게 판단하면 되겠습니까? -
발언 회의록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