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제354회-교육문화체육관광제8차(2017년11월23일)
입니까?
◯진술인 김태은 물론 학교현장에 따라 차이는
있는데 기본적으로 학습부진 아이들한테 접근할
때 가장 큰 문제는 낙인의 문제였습니다. 그 아
이를 빼내서, 풀 아웃해서 뭔가를 한다고 할 때
실은 아이도 내가 밖에 나와 가지고 도움을 받았
다라는 느낌을 받으면 나오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그냥 그런 동의 없이 ‘너 나와’ 해 가지고
밖으로 빼서 했을 경우에 나는 못 하는 아이라는
낙인을 받는 것은 굉장히 힘들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것은 수업이 이
루어지고 있는 내에 아이가 못 따라가고 있는 장
면에 바로 옆에서 지원을 일대일로 해 줄 수 있
는 이런 구조가 굉장히 이상적입니다.
제가 예전에 어떤 사립초등학교의 수업모형을
봤는데요. 그 학교가 한 학급당 한 30명 정도의
규모였습니다. 그런데 교사가 3명이 들어갔습니
다. 물론 사립학교니까 여러 가지 여력이 되어
있겠지만 한 교사가 메인으로 수업을 하고요, 10
분 정도 있다가 두 집단으로 나눠서 수업을 합니
다. 그리고 1명의 교사는 옆에서 아이들한테 계
속적인 채점과 피드백을 개별적으로 줍니다. 그
런데 그런 장면을 딱 봤을 때 이렇게 이상적인
수업, ‘아무도 낙오되지 않은 이런 수업도 있구
나’ 이런 장면들을 실제로 본 적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아이들은 밖으로 빠져 나와서…… 학부
모들도 굉장히 반대합니다. 제가 여기 원고에도
써 놨지만 ‘내 아이가 장애도 아닌데 왜 나와 가
지고 그런 것을 해야 됩니까’라는 표현들을 쓰십
니다. 그런데 교실 수업 내에서 지원이 이루어진
다고 하는 것에 대해서 학부모들은 굉장히 찬성
적인 입장이라고 저는 알고 있습니다.
◯강길부 위원 그러면 현재 이런 현상을 개선하
기 위해서 담임선생님이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
겁니까? 그러면 걔를 위해서 별도로 수업을 가르
치는 것은 개인이라 못 할 거고.
◯진술인 김태은 학교현장에서는 수업시간 내에
서 그 아이한테 손길이 가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모와의 동의 과정을 거쳐서 방과 후에
선생님이 개별지도를 해 준다거나 이런 형태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아까 라재주 장학사님께서도
얘기하셨지만 이 아이가 분명히 셈이 안 되기 때
문에 도와줘야 하는데 그것을 도와주려고 방과
후에 남기는 과정에서 굉장히 많은 마찰들이 생
깁니다. 학부모는 학교가 진짜 그것을 해 줄까
싶은데요. ‘학원을 보내겠다, 그래서 나는 그것을
안 하겠다’ 이런 표현도 쓰고 학급이 올라갈수록
중학생들은 도망 다니기 바쁘거든요.
또 특히나 아이들은 방과 후에 바이올린을 하
든 뭘 하든 다양한 것을 하는데 나는 남아서 나
머지 학습을 해야 된다, 이런 것에 대한 결핍을
아이들이 굉장히 느끼고 있습니다. 물론 어떤 아
이들은 방과 후에 남아 가지고 지도하는 것을 좋
아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게 또 적절한 아이
들도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이게 한 가지 정책으로만 갈 게
아니라 수업 내에서 최대한 안전망을 만들어 주
고 그것에서 빠져 나온 아이들은 2단계에서 학교
내에서의 지원을 할 수 있고 또 그것에서도……
왜냐하면 학교 여력을 벗어나는 어떤 질환이나
병이나 이런 것을 가진 아이들이 또 있거든요,
장애의 문제는. 그런 경우에는 외부의 전문기관
까지 해서 3단계 안전망을 제대로 구축해 놔야
이 아이들이 안정적으로 국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아이가 될 거라고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발언시간 초과로 마이크 중단)
◯강길부 위원 현재 다른 외국에서는 이 부분
에……
◯위원장 유성엽 강길부 위원님, 죄송한데 다른
위원님들이
계속
기다리니까
이따
보충질의
로……
◯강길부 위원 이런 경우에 1수업 2교사제로 지
금 현재 많이 하고 있잖아요?
◯진술인 김태은 현재 많이 하고 있지는 않고
요. 그러니까 특정 시도에서 협력교사제라는 것
을 시범적으로 운영 정도 해 보고 있는 상황입니
다.
◯강길부 위원 아니, 우리나라 말고 외국에.
◯진술인 김태은 아, 외국에서요? 외국에서도
이런 형태들이 있지요. 다양하게 있고요.
실은 외국의 형태 같은 경우에는 저희도 조사
를 해 보니까…… 가장 선생님들께서 힘들어하시
는 게 뭐냐 하면 수업의 개념입니다. 교실 안의
수업을, 한정된 물리적 공간 안에서의 수업이냐?
예를 들면 외국사례 같은 경우에 교실 몇 개를
터서 굉장히 넓은 공간에서 아이들이 자유롭게
학습을 하든가 누구나 개별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는 이런 형태의 1수업 2교사제, 이런 것들은
미래의 수업 모형으로도 많이 제시되고 있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