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4회-국토교통소위제1차(2017년9월19일) 9
이용자가 누구냐고 물었어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도시계획국장 김명운 이
용자는 주로 인근에 있는 오송과 대전의 대덕하
고 연결된 BTㆍIT하고 관련된 학교를 국내 대
학을 집적해서 서로 융합을 통해서 협업을 통해
서 새로운 R&D의 메카로 만들자는 계획입니다.
◯주호영 위원 글쎄, 이게 얼마나 많은 사람들
이 이 시설을 안에서 각 대학이 이용해서 할지
내가 걱정이 돼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찬반
의견은 없는데, 이런 것까지 다 고민을 하고 하
는 것인지, 세종시 공무원들 학교 다니기 편하게
이런 거 하나 만들어서 그냥 학점 따고 학위 관
리하고 뭐 이러고 하면서 국가 전체적인 교육정
책하고 달리 가는 것이 아닌지 걱정이 돼서 내가
이야기해 보는 겁니다.
◯소위원장 민홍철 박덕흠 위원님 말씀해 주십
시오.
◯박덕흠 위원 지금 차장님이 들어오셨나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차장 김진숙 예.
◯박덕흠 위원 R&D 쪽으로 하신다고 그랬잖아
요.
그런데 인근 대학들이 큰 타격을 볼 겁니다.
지금 인구가 줄고 학생 수가 줄어 가지고 지방
대학들이 상당히 경영이 어려운데, 인근 대학 대
전권ㆍ충청권ㆍ충남권이 상당히 타격을 받는다고
보고 있거든요. 타격 안 받을까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차장 김진숙 그게 어
려운 측면으로 생각하면 그런 쪽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저희는 오히려 인근 대학들하고 같이 연
계해서 시너지효과가 크게 날 것으로 기대를 하
고 있고요. 그것을 목표로 해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전체 중부권을 R&D의 메카로 만
들자 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덕흠 위원 R&D 메카는 좋은데, 그러다보면
R&D 쪽으로 공동캠퍼스라는 명칭을 넣는다든가
이렇게 해야지, 아니면 다른 데에 인근 지역 학
과들이 다 어려운 환경에 도달할 수가 있습니다.
특히 오송 같은 경우에 의료 전문단지 아니에요?
그러다보면 거기도 상당히 타격을 받을 수가 있
고, 그렇다고 이 법에다가 학과를 딱 정할 수도
없잖아요, 그렇지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차장 김진숙 위원님,
위원님 걱정하시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희가 운영
과정에서 교육부하고 관련 대학들하고 충분히 협
의해서 문제가 없도록 그렇게 운영을 하겠습니다.
◯박덕흠 위원 협의를 하지만 점차적으로 하나
씩 하나씩 야금야금 먹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우리 인근 지역 보면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시각
으로 보고 있거든요.
그래서 충북도립대학 같은 경우 상당히 어려움
을 겪고 있고, 어찌됐든 정부에서 이렇게 추진한
다는 것은 저는 곤란하다……
◯주호영 위원 제가 한 말씀만 더 드리겠습니
다.
이게 공동캠퍼스를 만들어 대학을 만들든가 학
과를 창설하든가 여기에 인원을 뽑는 것이 아니
고, 이미 각 주변이든 어디에 있는 대학에 있는
인원들을 여기서 수업할 수 있도록 공동캠퍼스를
만드는 것 아닙니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차장 김진숙 그렇습니
다.
◯주호영 위원 그러면 각각 주변에서 수업하고
있는 학과가 몽땅 여기에 오든지 아니면 그 학과
를 갈라서, 그쪽 기존 대학에서 수업 듣기를 원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아닙니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차장 김진숙 예.
◯주호영 위원 그러면 각 대학들이 과를 2개로
분과하든지 인원을 갈라서 운영해야 되는 것 아
닙니까? 그런데 여기서 각 대학들이 모아서 하는
게 어떤 이점이 있느냐 이거예요? 대학 정원 학
과 이외에 대학원 과정에 MP(대학원 준비과정)
나 이런 것들을 여기 와서 해서 사람 모으고 하
는 그런 데는 효과가 있겠지만……
지금 정원 내에 있는 학생들, 기존 대학에서
다 하고 있는 것을 여기 캠퍼스로 모았을 때 그
모습이 어떻게 될 거냐 이거에요? 다 옮겨오지는
못할 거라고.
그러면 여기 듣고 싶은 사람은 여기 오라, 거
기 있을 사람 거기 있어라, 이것 이외에 어떤 플
러스적인 효과가 더 나느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도시계획국장 김명운 저
희들이 그런 부분들을 다 검토했는데요.
◯소위원장 민홍철 지금 누구시죠?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도시계획국장 김명운 행
복청 도시계획국장입니다.
◯소위원장 민홍철 예, 말씀하세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도시계획국장 김명운 일
단 초기에는 대학원 과정 위주로 각 대학이
R&D를 융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고, 최근에
예를 들면 외국대학도 있는데 이태리에서 산타체